이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차이가 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현 정부 출범 당시에만 하더라도 1억원 후반대 자금만 있으면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탈 수 있었지만, 이제는 전세 세입자가 매매로 내 집 마련하기 위해서는 평균 6억원이 더 필요하게 됐습니다.

27일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, 2017년 5월 서울 아파트 평균매매가격(6억708만원)과 전세가격(4억2619만원)의 차이는 1억8090만원 수준이었지만, 올해 4월 그 차이가 6억152만원(평균매매가격 12억 7722만원·전세가격 6억 7570만원)으로 벌어졌습니다.
약 5년 사이 서울 아파트 평균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차이가 약 4억2000만원 급증한 셈입니다.
이는 치솟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을 전세가격이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입니다. 실제 2017년 5월 대비 이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10.4% 상승한 데 비해, 전세가는 58.5% 오르는 데 그쳤습니다.
서울에서도 한강이북(14개 자치구)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격차 상승률이 더 높았습니다.
2017년 5월 한강이북의 아파트 매매가는 4억5864만원, 전세가는 3억5098만원으로 매매와 전세가격 격차는 1억766만원이었으나 이달 매매가와 전세가는 각가 10억1128만원, 5억5846만원으로 가격 차이가 4억5282만원으로 확대됐습니다. 2017년 대비 상승률로는 320.6%에 달합니다.
같은 기간 한강이남(11개 자치구)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차이는 2억4325만원(7억3347만원-4억9022만원)에서 7억4241만원(5억2548만원-7억8307만원)으로 205.2% 올랐습니다.
황한솔 경제만랩 연구원은 "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서울 똘똘한 한 채의 영향이 커지면서 매매가격이 크게 올랐다"면서 "전세로 거주하다 내 집 마련을 하겠다고 생각했던 사람들은 이젠 전세를 유지하기도 어려워지고 있다"고 말했습니다.
#서울아파트값, #아파트전세, #아파트매매, #서울내집마련, #서울아파트시세, #전세매매가차이, #아파트가격상승률, #전세가상승률
'이슈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리은행 500억 직원 횡령 사건 발생 (0) | 2022.04.28 |
---|---|
"이은해·조현수에 죄송"하다는 악플러들, 합의금 돌려준 변호사 (0) | 2022.04.27 |
포켓몬빵 시즌3, 띠부씰 3개짜리 롤케익 나온다(5월 5일 출시) (0) | 2022.04.26 |
‘계곡 살인’ 이은해, 구속 후 검찰 조사서 국선 변호인 거부 (0) | 2022.04.26 |
김동연, ‘과반 득표’로 민주당 경기지사 후보 선출 (0) | 2022.04.25 |